일본군가 2

露営の歌(노영의 노래) 노래 가사 해석 [일본 군가]

노영의 노래(露営の歌/로에이노 우타)는  일본제국의 군가로, 야부우치 키이치로(薮内喜一郎, 1905~1986)가 작사하고, 고세키 유지(古関裕而, 1909~1989)가 작곡하였으며, 1937년에 일본 컬럼비아 레코드의 레코드인 '진군의 노래(進軍の歌)'의 B면 수록곡으로 발매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할 시점, 사기 고취를 위하여 마이니치 신문(毎日新聞)이 군가의 가사를 공모하였으며, 이 중에서 혼다 노부야스(本多信寿)와 야부우치 키이치로(薮内喜一郎)의 가사가 입선되었다. 입선된 야부우치의 작품이 '노영의 노래(露營の歌)' 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고, 작곡가 고세키 유지(古関裕而)가 곡을 붙여 완성되었다. 당시 진군의 노래의 B면 수록곡으로 발매된 노영의 노래는 당대 군인(일본군, 만주군 등등...

音樂/軍歌 2025.03.19

눈의 진군(雪の進軍) 가사 번역 [일본군가]

눈의 진군(雪の進軍)은 일본 제국의 군가이며, 일본 제국 육군 군인이자 작곡가로 활동한 나가이 켄시(永井建子, 1865~1940)가 작사 및 작곡했다. 일본 제국 군가 특유의 애국심이나 승리의 영광과 연관되어 있지 않고, 엄동설한 속에서 고생하며 한탄하는 보병의 어두운 심정이 반영된 것이 특징이다.  본 노래는 나가이 켄시 본인이 1895년 청일전쟁에 군악대로 종군했을 적을 경험으로 살려 당시 혹한기 속 추위와 굶주림으로 고생하는 동료 병사들의 심정을 담아냈으며, 현실적인 가사와 곡조로 당시 병사들 사이에서도 커다란 인기를 끌었다. 곡조는 요나누키 음계 77조(ヨナ抜き音階の七七調)에 해당되며, 당시 메이지 시대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언문일치체가 사용되었다.  오랫동안 애창된 노래이지만, 노래의 어두운 분위..

音樂/軍歌 2025.03.17